![[토큰포스트 브리핑] FTX, 모든 암호화폐 출금 중단 外](https://s1.tokenpost.kr/assets/uploads/20221108db67c0aaa7c026cc2.jpg)
[FTX, 모든 암호화폐 출금 중단]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FTX 직원은 공식 텔레그램 그룹 채팅방을 통해 모든 암호화폐 출금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채팅방에 있는 많은 FTX 고객들은 출금을 위해 수 시간째 기다리고 있다고 항의 중이다.
[북미 채굴기업 마라톤, 3Q 매출 $1270만...예상치 하회]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북미 암호화폐 채굴기업 마라톤 디지털 홀딩스의 3분기 매출이 1270만달러로 전문가 예상치인 2340만달러를 하회했다. 주당 순손실도 0.72달러로 예상치(0.15달러)에 못미쳤다. 연내 목표한 해시레이트는 11.5 EH/s에서 9 EH/s로 낮췄다. 다만, 내년 중반까지 23 EH/s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는 수정하지 않았다.
[호주 증권투자위원회, 암호화폐 사기 범쥐 및 징후 공개... "투자 주의"]
에이엠비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호주증권투자위원회(ASIC)가 암호화폐 사기에 대한 범주를 공개했다. ASIC는 암호화폐 사기를 △가짜 암호화폐 앱, 거래소, 웹사이트를 통한 투자 △가짜 암호화폐 토큰을 사용한 자금세탁 활동 △암호화폐 사용한 사기성 결제 등으로 분류하며, "암호화폐 사기에 대한 주요 징후는 갑작스러운 제안, 가짜 유명인의 광고, 온라인으로만 연락되는 파트너 등이 있다. 즉시 인식할 수 없는 징후로는 금융 서비스 비용을 암호화폐로 지불하라는 요청, 자금 접근을 위한 추가 입금, 납세를 위해 투자 수익을 원천징수하라는 요청, 공짜 혹은 수익을 보장하는 투자 등을 꼽았다. ASIC 측은 "올해 암호화폐 관련 투자 사기가 급증했다. 사기 피해자는 이를 즉시 은행 혹은 금융기관에 신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인베이스 "FTT·알라메다·FTX와 재정적 관련 없다... 대부분 자산 USD로 보유"]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FTT, 알라메다, FTX와 관련된 자금은 거의 없다고 밝혔다. 거래소는 "바이낸스와 FTX의 거래 진행 여부와 상관없이 코인베이스는 FTX에 노출된 자금이 거의 없다. 비즈니스 운영 및 고객 거래 촉진은 위해 FTX에 1500만 달러 상당의 예금을 보유하고 있을 뿐이다. FTX 관련 대출금도 없다"며 "거래소 토큰 FTT와 관련된 자금도 없으며, 알라메다 리서치와 관련된 것도 없다"고 전했다. 이어 "공개된 재무제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 코인베이스는 고객 자산을 1:1로 보유하고 있다. 고객의 대출 회수 및 인출에 대한 제한은 없다"며 "우리에게는 유동성 문제가 없음을 공개된 자료를 통해 증명했다. 자산의 대부분을 USD로 보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테더 CTO "10억 USDT 발행은 재고 보충"]
파올로 아르도이노 테더 CTO가 오늘 5시 27분 트론 네트워크에서 발행된 10억 USDT는 재고 보충 물량이라고 밝혔다. 이는 향후 고객의 발행 요청 및 체인 스왑을 위한 물량이다.
[옥살이 선배 팟캐스터, 도권에 "감옥 그렇게 끔찍한 건 아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도권 테라폼랩스 창업자가 화요일(현지시간) UpOnly crypto 팟캐스트에 출연했다. 증권사기 혐의로 4년형을 선고 받고 지난 5월 석방된 슈크렐리(Shkreli)는 도권에게 "감옥은 끔찍하지만 최악은 아니다. 그러니 걱정하지 말라.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길 바라지만, 감옥에 가더라도 그렇게 나쁘진 않다"고 말했다. 슈크렐리는 샘 뱅크먼 프리드 FTX 설립자에게도 비슷한 조언을 했다. 그는 "FTX가 앱토스(Aptos), 수이(Sui) 딜을 주도한 건 정말 무모했다. 은행들이 그렇게 하지 않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SBF가 몇 달 만에 구제금융 제공자에서 구제금융 수혜자로 추락할 수 있다는 게 정말 웃기다. 결국 SBF도 징역살이를 하게 될 수 있다"고 비꼬았다.
[미 재무부 "토네이도캐시, 북한 핵무기 프로그램과 관련"]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이 탈중앙화 암호화폐 믹서를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과 연결시켰다. OFAC는 성명을 통해 "북한의 핵 확산 관련 명령 범위에 토네이도캐시를 추가한다"며 "이번 조치는 불법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개발과 관련해 북한을 제한하려는 미국의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토네이도캐시를 국가 안보 위협이라고 간주하는 OFAC의 의견이 한층 강화됐다. 지난 8월 OFAC은 북한 해커가 훔친 암호화폐를 토네이도캐시를 통해 세탁,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는 이유로 토네이도캐시를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블룸버그 "FTX 스포츠 파트너십 위태"]
유동성 위기가 불거지면서 FTX의 여러 스포츠 파트너십이 위태해질 수 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FTX는 작년 마이애미 히트 농구 경기장 명명권을 19년간 $1.35억에 구매했었고, 이밖에 메이저리그 심판들, F1 레이싱 팀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와 스폰서십 계약을 체결했었다. 톰 브래디, 스테판 커리, 오타니 쇼헤이 등 유명 스포츠 선수들과도 계약을 맺은 바 있다.
[포브스 "VC 타이거글로벌, FTX 이슈 타격"]
포브스가 바이낸스의 FTX 인수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암호화폐 업계 대표적인 VC 타이거글로벌(Tiger Global)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타이거글로벌은 FTX의 대표 투자사 중 한 곳으로 구체적인 투자 규모는 비공개 상태다. 미디어는 "타이거글로벌의 주력 헤지펀드가 기술 및 중국 주식에 대한 리스크로 올해 이미 54.7% 하락한 상태"라며 "FTX 이슈로 인한 타격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더리움 가스피 647gwei까지 급등]
이더스캔에 따르면 급격한 시세 변동으로 인해 이더리움 네트워크 가스피가 순간적으로 647gwei까지 치솟았다.
[바이낸스 CEO "암호화폐 거래소 준비금, 완전히 투명해야...솔선수범 하겠다"]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가 "모든 암호화폐 거래소는 머클트리(merkle-tree) 준비금 증명(proof-of-reserves)을 해야 한다. 은행은 부분 준비금으로 운영되는데, 암호화폐 거래소는 그러면 안된다. 바이낸스는 곧 준비금 증명 방식으로 운영을 시작할 것"이라고 트윗했다.
[외신 "SBF, 바이낸스 합의 전 월스트리트에 10억 달러 구제금융 요청"]
글로벌 뉴스 플랫폼 세마포(Semafor)가 업계 관계자 발언을 인용, FTX가 바이낸스와 합의하기 몇시간 전까지 실리콘밸리 및 월스트리트 억망장자에게 10억 달러 이상의 구제금융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업계 관계자는 "FTX 창업자 샘 뱅크먼 프리드(SBF)가 바이낸스와의 거래 성사 전, 10억 달러 이상의 자금 조달을 모색했다. 이후 이 규모는 점점 커져 50~60억 달러가 됐다"고 전했다.
[러 중앙은행 "주식시장 인프라에 디지털 자산 거래 포함해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은행은 최근 보고서에서 NFT, 스마트 컨트랙트 규제를 제안했다. 은행은 "디지털 자산은 속성이 유사한 경우 기존 증권과 유사하게 규제될 수 있지만, 기반 기술이 소비자 위험을 낮출 수 있다면 증권법과는 다른 새로운 규제 방식을 개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디지털 증권, 유틸리티 토큰 과세를 다룬 보다 자세한 규칙, NFT 발행 및 스마트 컨트랙트 규제 필요성을 설명하고, 기존 주식시장 인프라에 디지털 자산 거래를 포함할 것을 제안했다. 투자자가 금융 지식 테스트를 통과할 경우 연간 10만루블($1640) 혹은 그 이상 한도 내에서 증권, 디지털 자산 모두를 거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러시아 은행은 12월 7일까지 보고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코인베이스, 웹·모바일 네트워크 연결 문제 발생]
코인베이스가 공식 채널을 통해 웹 및 모바일 네트워크 연결에 문제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거래소는 "이로인해 웹 및 모바일 로그인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로딩이 느려질 수 있다.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FTX 피인수' 블록파이 "우리는 독립 사업체... 서비스 정상 운영"]
미국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블록파이(BlockFi) 창업자 플로리 마르케스(Flori Marquez)가 바이낸스의 FTX 인수와 관련해 "우리는 독립적인 사업체"라고 말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FTX의 미국 법인 FTX US와 블록파이의 최대 2.4억 달러 규모 인수 거래가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고 전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플로리 마르케스는 "오늘날 암호화폐 시장에는 많은 뉴스가 있다. 블록파이는 독립적 사업체로, 적어도 2023년 7월까지는 독립적인 법인 지위가 유지될 것"이라며 "예금, 인출, 거래, 대출 모두 정상적으로 처리되고 있다. 우리는 투명성을 유지하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FTX의 블록파이 인수는 이르면 2023년 가을께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됐었다.
[미 CFTC "바이낸스-FTX 상황 모니터링"]
외신에 따르면 미국 CFTC(상품선물거래위원회)는 바이낸스-FTX 상황을 모니터링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바이낸스 CEO는 FTX 구속력 없는 인수의향서에 서명했다고 발표했다.
[JP모건 "스테이블코인 기술, 화폐 시스템 진화에서 중요한 역할"]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JP모건은 목요일 리서치 보고서에서 암호화폐 약세장에도 불구하고 스테이블코인 기반 기술은 계속해서 화폐 시스템 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증권과 자산의 토큰화, 스마트 컨트랙트, 암호화 기술이 금융 시스템의 미래를 바꿀 것이다. (중략) 최근 침체장은 규제 결함 리스크를 강조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JP모건이 실시한 투자자 서베이에서 응답자 28%는 암호화폐가 2023년 최악의 자산군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74%는 비트코인이 6개월 뒤에도 $25000를 밑돌 것이라고 응답했다.
[법룰 전문가 "바이낸스-FTX 인수, 반독점 법 위반 가능성"]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네덜란드 소재 암스테르담자유대학교의 법학 부교수이자 블록체인 법률 전문가인 티볼트 슈레펠(Thibault Schrepel)이 바이낸스의 FTX 인수와 관련해 미국의 셔먼법(Sherman Act, 동종업체의 기업연합(카르텔) 혹은 기업합동(트러스트) 행위를 처벌하는 목적) 등 반독점 법 준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법원 문서 혹은 반독점 소송에서 해당 트윗(인수 관련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의 트윗)을 발견하게 되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며 "자오창펑은 FTX에 유동성 문제가 발생하자 이용자 보호를 위해 개입했다고 밝혔다. 이는 불법적인 합의를 암시한다"며 "해당 거래가 미국 사업을 포함한 기업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미국 법이 적용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FTX 설립자 "72시간 동안 순출금 규모 8조원대"]
1인 미디어 월터 블룸버그에 따르면 샘 뱅크먼 프리드 FTX 설립자가 직원들에게 보낸 텔레그램 메시지에서 "화요일 아침(현지시간) 전까지 72시간 동안 순출금 규모가 $60억(8조 2920억원)에 달했다"고 언급했다.
[플로우카본, '수익금 75% 탄소배출권 구입' NFT 프로젝트 출시]
더블록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탄소 배출권 거래 플랫폼 플로우카본(Flowcarbon)이 수익금의 75%를 탄소배출권 구입에 사용하는 NFT 프로젝트 Flow3rs를 출시했다.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총 200개의 NFT가 판매되며, 수익금의 75%는 탄소배출권 구입에 나머지는 아티스트 및 서비스 제공자에게 돌아간다. NFT 가격은 향후 발표될 예정이다. 플로우 카본은 위워크(WeWork) 창업자 애덤 뉴먼(Adam Neumann)이 투자한 스타트업이다.
[디파이언스 설립자 "바이낸스 FTX 부채 떠안는 대신 인수액은 낮을 것"]
디파이언스 캐피탈 설립자 아서는 바이낸스의 FTX 인수 추진과 관련해 "이 거래가 성사되기까지의 시간을 감안할 때 바이낸스는 명목/무시할 수 있는 금액으로 FTX를 인수하고 모든 부채를 떠안을 가능성이 높다. 내가 FTX 이전 라운드 투자자라면 지금부터 소송 변호사를 고용할 것"이라고 트윗했다.
[펀더멘털 분석가 "바이낸스-FTX 인수, 100% 성사"]
약 14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디파이 투자자이자 펀더멘털 분석가 Arthur_0x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바이낸스와 FTX의 인수는 100% 성사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 거래가 성사되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이 소요됐는지 생각할 때 이 건은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 바이낸스가 FTX를 인수하고 해당 거래소의 모든 부채를 떠맡을 가능성이 높다"며 "내가 FTX의 투자 라운드에 참여한 투자자라면 지금부터 소송 변호사를 고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바이낸스 CEO "언제든 FTX 인수 거래 철회 가능...FTT 변동성 확대 예상"]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가 FTX 완전 인수를 위한 구속력 없는 LOI(인수의향서)에 서명했다고 밝힌 가운데, 바이낸스는 언제든 거래를 철회할 재량권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상황에 따라 FTT 변동성이 매우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자오창펑은 오늘 오후(현지시간) 유동성 위기에 빠진 FTX가 바이낸스에 도움을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FTX 창업자 "바이낸스와 전략적 거래 합의 이뤄냈다"]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창업자가 방금 전 트위터를 통해 바이낸스와 전략적 거래에 대한 합의를 이뤄냈다"고 전했다. 그는 "자오창펑과 바이낸스 및 모든 후원자에게 감사하다. 자오창펑은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을 위해 놀라운 일을 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며 "미디어를 중심으로 두 거래소 간에 충돌이 있다는 소문이 확산됐다. 바이낸스는 규제 기관과 업계 간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탈중앙화된 글로벌 경제를 위해 노력함을 거듭해 보여줬다. 우리는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거래소 출금도 처리되고 있다. 이것이 유동성 위기를 해결할 것이다. 모든 자산은 1:1로 처리된다"고 덧붙였다.
[로닌 네트워크, 트랜잭션당 최소 가스피 20gwei로 인상...스팸 방지]
엑시인피니티 이더리움 사이드체인 로닌 네트워크는 스팸 방지, 보안 강화를 위해 트랜잭션당 최소 가스피를 20gwei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 조치는 7일 내 시행된다. 로닌 네트워크는 차익거래봇이 끊임없이 로닌에 스팸을 보내 수백만 건의 거래 실패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호주 암호화폐 펀드, FTT 토큰 청산]
유투데이에 따르면 호주 블록체인 컨설팅 서비스 및 자산운용사 디지털X(DigitalX)가 FTX의 거래소 토큰 FTT를 청산했다. 해당 펀드는약 100만 달러 상당의 FTT 토큰을 청산했다. 이는 펀드 총 보유량의 약 2%다. 이와 관련해 디지털X 책임자 리사 웨이드(Lisa Wade)는 "FTT가 상당히 강력한 단기적 역풍을 맞고 있다.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고 전했다. 코인글래스(Coinglass) 데이터에 따르면 FTT 선물 미결제약정은 바이낸스의 FTT 처분 선언 전 8,756만 달러에서 현재 두 배 이상 증가한 2억 300만 달러를 기록 중이다. 이는 12개월래 최대 규모다.
[FTT 선물 포지션 규모 3.1억달러 상회...역대 두 번째 많아]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FTT 선물 포지션 규모가 3.1억달러를 넘어섰으며 이는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규모다. 바이낸스 포지션 점유율이 47%로 FTX를 넘어섰다. 바이낸스에서 FTT 선물 펀딩비율은 현재 -0.7500%다.
[아베 CEO "트위터, 웹3 도입... 빠른 시일 내 일어나지 않는다"]
아베(Aave) CEO 스타니 쿨레초프(Stani Kulechov)가 디크립트와의 인터뷰에서 많은 사람들이 최근 트위터를 인수한 일론 머스크가 웹3를 플랫폼으로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나는 트위터가 블록체인에 포함될 일은 당분간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웹3 소셜 미디어는 웹2의 업데이트 버전이라기 보단 새로운 플랫폼의 상호운용 가능한 네트워크 형식"이라며 "렌즈(Lens)를 탈중앙화된 상호운용 가능한 소셜 미디어 프로토콜로 만들기 원한다. 렌즈 프로토콜은 트위터(또는 다른 서비스)의 발을 밟는 행위는 하지 않을 것이다. 렌즈는 완전히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전했다. 렌즈는 지난 5월 출시된 아베 기반 소셜 미디어 프로젝트다.
[엔씨소프트, 수이 개발사 미스틴랩스에 1500만 달러 투자]
엔씨소프트가 레이어1 블록체인 수이(SUI) 개발사 미스틴랩스(Mysten Labs)에 15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이번 투자는 앞서 발표된 3억 달러 규모 펀딩 라운드의 일환인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금은 미스틴랩스의 웹3 게임과 기타 프로젝트의 인프라 개발에 사용된다. 엔씨소프트는 투자와 함께 미스틴랩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미스틴랩스 생태계 내 웹3 게임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애니모카브랜드, 실물 연동 'NFT 자전거' 프로젝트 추진]
NFT 전문 미디어 NFT플라자에 따르면, 블록체인 및 NFT 게임 개발 및 투자사 애니모카브랜드가 최근 3D 프린팅 스타트업 아레보(Arevo Inc.)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실물 연동 NFT 자전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주문 제작을 통해 맞춤형 디자인으로 제작되는 해당 상품은 실물 자전거와 연동된 NFT가 동시에 구매자에게 전달된다. 또 해당 NFT는 애니모카브랜드의 자체 메타버스 생태계에서 사용 가능하다는 게 애니모카 측의 설명이다.
[암호화폐 지갑 업체 포디파이, 1,800만 달러 시드 투자 유치]
PR뉴스와이어에 따르면, 암호화폐 지갑 및 보안 회사 포디파이(Fordefi)가 최근 시드 라운드를 통해 1,8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포디파이의 이번 시드 라운드는 라이트스피드벤처파트너스(Lightspeed Venture Partners)가 주도했으며, 일렉트릭 캐피털(Electric Capital), 알라메다 리서치(Alameda Research), 점프크립토(Jump Crypto), 캐슬 아일랜드(Castle Island), 판테라 캐피털(Pantera Capital), 일루미네이트 파이낸셜(Illuminate Financial), 페이팔 얼룸나이 펀드(PayPal Alumni Fund), 니마 캐피탈(Nima Capital), 디지털커런시그룹(Digital Currency Group), 디파이언스캐피털(DeFianceCapital) 및 스타크웨어(StarkWare) 등이 참여했다.
['FTX 출금 중단 가능성' 제기 애널리스트 "FTX US 주소 ETH 출금 정상 처리 중"]
방금 전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온체인 트랜잭션이 2시간 넘게 멈춰있다며 '출금 중단 가능성'을 제기한 더블록 리서치 소속 애널리스트 스티븐 정(Steven Zheng)이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FTX US 주소에서 ETH 출금이 정상 처리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FTX 인터내셔널 핫월렛 내 온체인 출금 트랜잭션이 일시적으로 발생하지 않아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유력 암호화폐 미디어 우블록체인은 "스코프 프로토콜에 따르면 지난 2시간동안 FTX의 주요 거래소 지갑에서는 100만 달러 상당의 ETH 출금 기록만 관측되고 있다. 대다수 코인의 출금이 일시 중단됐을 가능성이 있다. 커뮤니티 피드백에 따르면, FTX의 암호화폐 출금은 대부분 4시간~24시간 내 처리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FTX 출금 중단 가능성' 제기 더블록 애널리스트 "보도 후 출금 재개된 듯"]
방금 전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온체인 트랜잭션이 2시간 넘게 멈춰있다며 '출금 중단 가능성'을 제기한 더블록 리서치 소속 애널리스트 스티븐 정(Steven Zheng)이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더블록에서 해당 보도가 나간 후 FTX의 출금이 다시 재개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외신 "FTX, 출금 중단 가능성...마지막 온체인 거래 20시 37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이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출금 요청 처리를 일시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 FTX 핫월렛에서 발생한 마지막 이더리움 온체인 거래는 미국 동부시간 기준 8일 오전 6시 37분(한국시간 기준 8일 20시 37분)에 발생했다. 트론과 솔라나 블록체인에서도 비슷한 시간대에 온체인 거래가 마지막으로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출금 중단 관련 더블록의 인터뷰 요청에 아직 FTX의 답은 없는 상태다. 이와 관련 스티븐 정 더블록 리서치 소속 애널리스트는 "이더리움, 솔라나, 트론 블록체인에서 FTX로 식별되는 핫월렛에서 온체인 출금 처리를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 출금 대기자가 줄을 서고 있는 지금 상황에서 온체인 트랜잭션이 중단한 것은 이상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외신 "비체인, 11/17 역대 최대 규모 메인넷 하드포크 활성화"]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가 "비체인토르(VET)가 한국시간 기준 11월 17일 17시 10분께 블록높이 1381500에서 권한증명(PoA, Proof of Authority) 2.0 버전 업그레이드를 포함한 역대 최대 규모의 메인넷 하드포크를 적용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토르 노드를 실행 중인 개발자와 프로젝트들은 노드 소프트웨어를 2.0.1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해야 한다"고 8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유투데이는 "노드 소프트웨어 2.0.1 버전이 가동된다는 것은 메인넷 하드포크 활성화와 노드가 블록의 완결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VIP-220 FOB를 구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완결성은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이 수정될 수 없음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VET는 현재 1.03% 내린 0.0256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원문 출처: https://www.tokenpost.kr/article-111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