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거래소와 블록체인 프로젝트 규제 영향 차이 커져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된 지 한 달이 지난 현재, 한국의 가상자산 시장에서 거래소와 블록체인 프로젝트 간의 대응 방식과 전략에 뚜렷한 차이가 드러나고 있다. 이 법은 가상자산 시장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거래 규율을 정립하기 위해 도입되었지만, 그 영향은 시장 참여자들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20일(현지시간) 테크엠에 따르면,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법 시행에 따른 규제 명확성 덕분에 적극적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출시하고 시장 확장에 나서고 있다. 예를 들어, 업비트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등 주요 가상자산을 자동으로 구매할 수 있는 적립식 투자 서비스를 도입해 고객 유치에 나섰다. 빗썸은 오프라인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빗썸라운지'를 개설했으며, NH농협은행과의 협력을 통해 비대면 계좌 개설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코인원 역시 투자자 간의 소통을 촉진하는 커뮤니티 기능을 도입하며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러한 거래소들의 움직임은 규제의 명확성이 확보되면서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블록체인 프로젝트, 특히 웹3 게임, 디파이(DeFi), 대체불가능토큰(NFT) 분야는 여전히 불확실한 규제 환경 속에서 활동을 자제하고 있다. 국내 알트코인 발행사들 대부분은 외부 활동을 중단하거나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은 사업을 해외로 이전하는 선택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신세계백화점과 롯데홈쇼핑이 추진했던 NFT 서비스는 사실상 방치된 상태이며, 일부 플랫폼은 서비스를 종료하거나 중단했다. 이러한 상황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국내 규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해외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법조계에서는 현재 NFT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대부분의 NFT를 가상자산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는 블록체인 게임과 유틸리티 분야의 블록체인 서비스들이 국내에서 더욱 활동하기 어려워진 주요 배경으로 지목된다. 규제의 불확실성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많은 프로젝트들이 제도화 과정을 지켜보며 숨 고르기를 하고 있다.

결국,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법적 안정성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반면,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은 규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국내 활동을 축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가상자산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들 간에 뚜렷한 온도 차이가 나타나고 있으며, 향후 규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이들의 전략도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원문 출처: https://www.tokenpost.kr/article-193093?section=blockch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