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브리핑] 비트코인, 이전 상승세 이어 간다...중장기 낙관적 전망 나와 外](https://f1.tokenpost.kr/2023/05/drf2l7t47c.jpg)
[비트코인, 이전 상승세 이어 간다...중장기 낙관적 전망 나와]
약 34.6만 명의 트위터 팔로워를 보유한 익명의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렉트캐피털(Rekt Capital)이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BTC/USD 주봉차트 기준 BTC는 하락쐐기형(Falling Wedge) 패턴의 상단 저항선을 돌파하고 리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다. 패턴 상단 저항의 지지 전환 리테스트가 성공한다면 이전의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지난주 주봉 캔들 종가가 하락쐐기형 패턴 상단 저항 부근 혹은 바로 위에서 마감됐다는 것은 중장기적으로 낙관적인 신호"라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18% 오른 27,645.7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웹3 영화 제작자 "웹3, 크리에이터에게 힘 실어주는 기술"]
웹3 영화 제작자 조던 베인(Jordan Bayne)이 최근 디크립트와의 인터뷰에서 "웹3는 제작자에게 힘을 실어주는 기술이다. 이는 할리우드도 제작자에게 제공하지 못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특히 인디 영화 제작자들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웹3 기술은 지식재산권(IP)을 온전히 스스로 소유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또 커뮤니티는 영화 제작의 모든 단계에 참여 혹은 기여할 수 있으며, 스튜디오는 필요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리서치 "BAYC 최근 거래량 급증, 블러 포인트 파밍 자전거래 영향"]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 디앱) 마켓 데이터 플랫폼 댑레이더(RADAR)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유명 NFT 컬렉션 BAYC의 주간 거래량이 전주 대비 약 1,095% 증가한 2,190만 달러를 기록했다. 최근 BAYC 거래량 급증은 NFT 마켓플레이스 블러(BLUR)에서의 포인트 수집을 위한 워시트레이딩(자전거래)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블러 토큰 드롭 시즌2 이벤트가 다가오며 NFT 트레이더들은 포인트 획득량을 늘리기 위해 전략적으로 자전거래를 하고 있다. 특히 BAYC의 경우 약 30종의 BAYC NFT가 자전거래에 사용됐다.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하겠지만 워시트레이딩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솔라나 공동 창업자 "솔라나, 암호화폐 업계 '애플'될 잠재력 있다"]
라지 고칼(Raj Gokal) 솔라나(SOL) 공동 창업자가 29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와의 인터뷰에서 "솔라나는 암호화폐 업계의 애플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애플은 사용자 경험과 성능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10년 가까이 노력했다. 아이폰과 앱스토어, 앱 생태계가 오늘의 위치에 오르기까지 플랫폼 위에 구축해야 할 것들이 많았다. 하지만 이 모든 것들을 완벽하게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집중이 필요했다. 그리고 솔라나의 코어 엔지니어링 및 생태계가 집중하고 있는 부분도 과거의 애플과 같다. 완전히 새로운 금융 인터넷이지만 지금의 인터넷처럼 사용성이 뛰어난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웹3 최적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가'(Saga)를 출시한 것도 이러한 전략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호주 변호사 "리플 vs SEC 소송서 XRP 증권 여부 판결해주길"]
호주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 빌 모건이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리플(XRP)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소송에서 담당 판사가 XRP 자체의 증권 간주 여부를 판결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판사는 이미 '전문가 증언 배제 신청'(Daubert Motions)에 대한 판결을 내릴 때 자신이 결정해야 할 사안에 대해 명확히 밝혔다. 개인적으로 판사가 XRP 자체가 증권인지 여부를 판결해주길 바라지만, 그렇게 되지 않을까봐 우려스럽다. 물론 리플이 패소하고 XRP 판매로 얻은 수익을 몰수당한다면 XRP의 유가증권 여부는 법원에서 검토될 수 있다. 하지만 주요 쟁점 중 하나인 'XRP 판매가 투자계약에 해당하는지' 여부에서 리플이 승소한다면, 판사는 XRP의 증권 여부를 판결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경우 XRP 자체는 증권이 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외신 "베네수엘라 암호화폐 '페트로' 인프라 체인, 최근 수 차례 중단"]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이 "베네수엘라의 국가 발행 석유 코인 '페트로'(Petro)가 사용하고 있는 블록체인이 5월 24일부터 가동 중단 사태를 수 차례 겪고 있다"고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와 관련 현지 암호화폐 관련 민간 협회인 아소나크립(Asonacrip)은 "수백 개의 페트로 지갑이 돌연 삭제되거나 차단됐다. 또 페트로 체인은 지난 24일부터 27일까지 블록 생성이 중단되며 멈춰섰고, 네트워크 마비로 페트로 코인 이체도 불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리서치 "올들어 BTC-中 증시 상관관계 심화...美 증시와 대조적"]
블록체인 분석 업체 카이코(Kaiko)가 주간 인사이트 보고서를 통해 "올들어 중국 우량주 벤치마크지수 CSI300과 비트코인 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깊어지고 있다. 물론 절대적인 수치로 봤을 때 두 지표의 상관성(얼마나 유사하게 움직였는지를 퍼센테이지로 나타낸 지표) 약 20% 정도에 불과하지만, 중국의 규제, 경제활동 재개 등 주요 이슈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점점 커져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보고서는 "이와 대조적으로 미국 증시와 비트코인 간의 상관관계는 지속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지난 4월에는 사상 최저 수준까지 떨어지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미국 거래소 업홀드 CRO "XRP, 거래소 합법 상장 요건 충족"]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업홀드의 최고매출책임자(CRO) 낸시 비튼(Nancy Beaton)이 최근 한 패널 토론에서 "리플의 XRP 토큰은 거래소에 상장하기 위한 모든 합법적 기준을 충족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업홀드는 자체적으로 엄격한 상장 기준을 갖고 있으며, 합법성을 검토하는 상장 위원회도 운영하고 있다. 실제로 우리에게 상장을 신청하는 토큰 프로젝트의 약 70%는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지만, XRP는 모든 심사 항목을 충족했다. 이는 리플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소송 중에 있지만, XRP를 상장폐지 해야 할 법적 선례를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팬케이크스왑, NFT 기반 P2E 서비스 출시]
유투데이에 따르면,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겸 디파이 플랫폼 팬케이크스왑(CAKE)이 자체 NFT 기반 플레이투언(P2E) 서비스 '팬케이크 프로텍터'를 출시했다. CAKE 보유자들은 해당 게임파이 플랫폼에서 활용할 수 있는 NFT 캐릭터 '케이크 히어로'를 획득할 수 있으며, 게임 플레이를 통해 CAKE 토큰 및 NFT를 보상받을 수 있다는 게 팬케이크스왑 측의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CAKE는 현재 11.63% 오른 1.7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리서치 "블록체인 게임 시장 규모, 2030년 3,015억 달러로 성장 전망"]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마켓(Research and Markets)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블록체인 게임 시장 규모는 2030년까지 연평균 68.3% 성장률을 기록하며 3,015억 3,000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보고서는 "게임 내 자산의 소유권, 투명성, 신규 수익 창출 기회 등 수요로 인해 블록체인 게임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러시아, 국영 암호화폐 거래소 설립 계획 백지화]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아나톨리 악사코프(Anatoly Aksakov) 러시아 두마(하원)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29일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국영 암호화폐 거래소 설립 계획을 백지화하며, 민간 암호화폐 거래소 규제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암호화폐 거래소는 제재를 우회하는 데 사용될 여지가 있기 때문에 규제 마련해야 한다. 암호화폐 거래소는 러시아 중앙은행으로부터 규제를 받게 될 것이며, 올 연말까지 새로운 규정을 도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러시아 하원은 지난해 11월 러시아 국가 주도 암호화폐 거래소를 출범하기 위해 현행법 개정을 준비 중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원문 출처: https://www.tokenpost.kr/article-134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