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angle Digest]

※해당 컨텐츠는 외부에서 기발간 된 컨텐츠입니다. 컨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주의사항은 본문 하단에서 확인해주세요.

투자자 심리와 알트코인 거래에 대한 연구: 김치코인과 SNS자료를 중심으로

 

2023년 6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국회 통과와 가상자산시장의 제도권으로의 포섭 논의가 심화하는 가운데 투자자 보호를 위한 시장 감시 도구를 효과적으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알트코인 등 시가총액이 작은 자산에 대한 거래 패턴과 온라인 채널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음. 본 보고서는 국내 업체가 발행하거나 국내에서 주로 거래되는 김치코인을 중심으로 가격과 거래량 등 시세 변화가 급격히 일어나는 사건의 발생빈도를 분석하고 SNS 자료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투자자들의 매수 심리 및 포스팅 빈도와 가상자산의 시세 변화와의 관계를 살펴봄.

분석 결과 김치코인들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및 타 알트코인에 비해 더 급격 한 가격과 거래량 변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또한, 일별 포스팅 수와 일 가격 수익률 간의 단기적인 강한 양의 상관관계와 사건 분석을 통해 포스팅이 많이 올라오는 사건 이후 중 · 장기적으로 일 가격 수익률이 하락하는 경향성을 관찰할 수 있었음. 본 분석 결과 온라인 채널에서 언급 빈도를 바탕으로 가상자산 매수 시 중 · 장기적인 손실로 이어질 수 있기에 리딩방 등 온라인 채널에서의 정보를 투자자들은 유의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가상자산의 공시 투명성 강화, 거래 플랫폼의 심사과정 투명성 강화 등을 통한 투자자와 가상자산 업체 간 정보 비대칭 완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연구의 배경: 현황과 이슈

▶ 가상자산 업계를 제도권으로 포섭하고자 하는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가상자산 시장에서 자주 관찰되는 투자자 보호 및 불공정거래를 효과적으로 규제하기 위해서는 실제 시장의 움직임과 투자자 행태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 하는 연구가 필요

  • 가상자산 시장에서 시세조종 등 불공정거래 사건들은 시가총액이 작고 실질 적 가치가 불분명하며 투자자와 가상자산 사업자 간 정보 비대칭이 클수록 더 자주 발생하나 이에 대한 실증분석 및 기초 연구는 제한적인 수준
  • 한편, 투자자들의 정보 교류가 리딩방이나 SNS 등 온라인 채널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가운데 투자자들의 매수 심리와 가상자산의 시세 변화가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면 SNS를 통한 시세조종의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음.
  • 이에 따라 시가총액이 작고 변동성이 큰 가상자산의 시세와 SNS 등 온라인 채널 등의 여러 자료를 종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기초 연구가 향후 투자자 보호를 위한 효과적인 시장 감시 도구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필요함.

 

▶ 가상자산 가격은 가치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시장의 수요와 심리에 영향을 받기 쉽고 시가총액이 작을수록 시장 참여자의 수가 적어 자산 가격의 변동성이 크기에 단독상장 가상자산의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 가상자산 시장은 시세 조종 및 불공정거래에 취약한 구조임(<표> 참조).

  • 현재까지 논의된 가상자산 가치 평가 방식 대부분은 코인이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의 활성화 정도를 이용하는 등 시장의 수요나 심리에 영향을 받기 쉬운 간접적이고 상대적인 가치 측정 방식임.
  • 또한, 시가총액이 작은 가상자산의 경우 참여하는 투자자들의 수가 적어 투 자자 심리에 따라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고 위험 선호적인 투자자만 남을 가능성이 큼.
  • 우리나라 가상자산 시장은 단독상장 가상자산의 비중이 59%로 해외 거래소보다 크고, 이 중 50%가 국내 업체가 발행하거나 국내에서만 거래되는 ‘김 치코인’으로 이를 이용한 시세조종 및 불공정거래가 발생할 수 있음.

 

분석방법과 결과

▶ 본 연구에서는 김치코인이 비트코인, 이더리움 및 타 알트코인에 비해 급격한 가격, 거래량 상승 이후 가격하락으로 이어지는 사건의 빈도가 더 큰 것을 확인함.

  • Kamps, Kleinberg(2018)의 방법론을 활용해 가격과 거래량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이상변화 사건이 김치코인의 경우 비트코인, 이더리움 및 타 알트코 인보다 빈번하게 발생함을 확인함.

▶ 또한, 가상자산 투자자들이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텍스트 자료와 가상자산의 시세 변화 간 관계 분석을 통해 포스팅 수로 나타난 투자자들의 관심과 단기적인 일 가격 수익률 간의 양의 상관관계 및 중 · 장기적으로 일 가격수익률이 하락하는 추세가 있음을 발견함.

  • 가상자산 투자자들이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의 김치코인의 키워드를 담고 있는 포스팅들을 MLP(Multi-Layer Perceptron)분석을 통해 투자자들의 매수 심리를 측정하는 한편, 포스팅 수를 바탕으로 관심도를 측정
  • SNS 자료와 각 가상자산의 일 가격 수익률 간의 회귀분석을 통해 일별 포스 팅 수와 일 가격 수익률 간의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관찰
  • 한편, 사건분석(Event Study)과 그레인저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포스팅이 많이 올라오는 일자 이후 중·장기적으로 일 가격수익률이 하락하는 추세가 있음을 발견
  • 또한 Kamps, Kleinberg(2018) 방법론에 의해 식별된 가격 및 거래량의 이상 변화 사건이 포스팅 수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
  • 트래블 룰(Travel Rule)의 도입 이후 포스팅 수와 일 가격수익률과의 관계는 약화한 것으로 나타남.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투자자와 가상자산 사업자 간 정보 비대칭성이 클수록 투자자들은 SNS 등에 더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이는 궁극적으로 투자자 손실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 특히 시가총액이 작은 김치코인의 경우 개인 투자자들이 집중된 종목이기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엿볼 수 있는 대중 심리에 영향을 받기 쉬움.
  • 가상자산 프로젝트의 실질 가치를 측정하기 어렵고, 투자자와 업자 간 정보 격차가 커 위험 선호적인 투자자들만 남을 경우 중장기적으로 선의의 투자자들을 구축시키고 건전한 프로젝트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음.

▶ 중장기적으로는 가상자산의 공시 투명성 강화 및 거래 플랫폼의 심사과정 투명성 강화, 거래소 간 경쟁 촉진 및 가상자산 시세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수단 마련이 필요할 것.

  • 개별 가상자산의 공시 투명성 강화 등을 통해 투자자와 가상자산 사업자 간 정보 비대칭성을 완화 시킨다면 개별 투자자들의 온라인 채널에 대한 의존성을 낮출 수 있어 가격 변동성을 줄일 수 있음.
  • 한편가상자산 거래소가 상장기준을 높이고 과정을 투명하게 운영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거래소 간 경쟁을 장려하여 중 · 장기적인 평판 관리에 신경을 쓰도록 독려할 필요가 있음.

투자자 심리와 알트코인 거래에 대한 연구: 김치코인과 SNS자료를 중심으로

-> '투자자 심리와 알트코인 거래에 대한 연구: 김치코인과 SNS자료를 중심으로' 원문 보러가기

주의사항
본 글에 기재된 내용들은 작성자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크로스앵글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본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배포되는 자료입니다. 본 글은 투자 자문이나 투자권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별도로 명시되지 않은 경우, 투자 및 투자전략, 또는 기타 상품이나 서비스 사용에 대한 결정 및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으며 투자 목적, 개인적 상황, 재정적 상황을 고려하여 투자 결정은 사용자 본인이 직접 해야 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금융관련 전문가를 통해 확인하십시오. 과거 수익률이나 전망이 반드시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본 글은 제휴 파트너에 의해 제공된 것으로, (주)크로스앵글은 본 글에 대한 편집 통제권을 가지지 않고 본 글에 포함된 정보의 정확성 및 적시성에 대해 보증하지 않습니다. 본 글에는 제3자 웹사이트에 대한 링크가 포함될 수 있으나 (주)크로스앵글은 제3자 웹사이트에 대해 통제하거나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본 제작 자료 및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자사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저작권에 위배되는 편집이나 무단 복제 및 무단 전재, 재배포 시 사전 경고 없이 형사고발 조치됨을 알려드립니다.
 
원문 출처: https://xangle.io/research/detail/1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