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국립 디지털 기술 그룹(LADT)은 ASEAN 스테이블 코인 발행을 촉진하기 위해 HashKey Capital이 주도하는 엔젤 라운드 파이낸싱에서 300만 달러를 받았습니다.
LADT는 엔젤 라운드 자금 조달을 완료한 후 첫 번째 TON 체인 지갑 애플리케이션 NewPay+ TON이 공식 출시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NewPay+ TON과 동시에 출시된 Telegram의 다기능 미니 애플리케이션 RetoLabs도 있습니다.2025-01-27타이거리서치: 2024년 국내 암호화폐 해외 거래소 및 디파이 플랫폼 자금 이체 전년 대비 2.3배 증가
타이거리서치(Tiger Research)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는 한국이 암호화폐 거래량에서 세계 1위를 달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분명한 감독과 구체적인 지침 부족으로 인해 한국의 Web3 산업 발전이 저해되고 있으며, 자본, 인재, 기업의 유출이 부진하다고 지적했다. 가속. 보고서는 국내 거래소의 서비스 중단과 외부 투자 기회 유치 등의 영향으로 2024년 국내 암호화폐의 해외 거래소 및 디파이 플랫폼으로의 자금 이체가 전년 대비 2.3배 증가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넥스팩(Nexpac), 클레이튼(Klaytn), 위믹스(Wemix) 등 국내 웹3 업체들은 아랍에미리트 등 규제 친화적인 국가로 본사를 이전했다. 보고서는 또 두뇌유출로 인해 우리나라 Web3 생태계의 기술경쟁력 저하가 심화되고 있는 반면, 미국, 아랍에미리트 등 국가들은 명확한 정책을 통해 고급 기술 인재를 유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25년 글로벌 Web3 산업 변화 속에서 한국이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규제 개혁을 시급히 추진하고, 기업 계정의 암호화폐 거래를 허용하고, 스테이블코인 및 DeFi 관련 정책을 마련하여 지속 가능한 혁신 생태계를 구축해야 합니다.2025-01-24아시아의 두 소셜 거대 기업인 Line과 Kakao, 그리고 2억 5천만 명의 사용자 잠재력을 발휘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황에서 Kaia가 TON의 신화를 재현할 수 있을까요?
카이아(Kaia)는 동아시아 양대 소셜체인 카카오와 LINE이 공동으로 구축한 레이어 1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2024년 8월 메인넷이 온라인화 된 이후 빠르게 동아시아 블록체인 생태계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했습니다. Kaia는 두 가지 주요 플랫폼의 리소스를 통합함으로써 DeFi, GameFi, 결제, AI 및 기타 분야에서 포괄적인 레이아웃을 입증하는 동시에 글로벌 Web3 생태계를 위한 고유한 소셜 및 결제 브리지를 구축했습니다.2025-01-15라인 생태계가 TG 생태계를 인수하게 될까요?
라인은 한국 퍼블릭체인 클레이튼 메인넷과 합병해 웹3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아시아에서 새로운 웹3 현상 프로젝트가 탄생할 수도 있다. 이번 합병은 기술 혁신, 거버넌스 변화 및 통합 토큰을 가져오고, 이더리움과 코스모스 전반에 걸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Web3의 개발을 가속화하며, 블록체인 분야에서 아시아 거대 기술 기업 간의 심층적인 협력을 예고합니다.2024-11-19TON 생태계 비교: 브랜드 변경 후 KAIA의 향후 재가동 경로 분석
KAIA는 클레이튼과 핀스키아의 합병으로 주목을 받았다. 카카오와 LINE을 활용해 동아시아 지역에서 2억 5천만 명 이상의 사용자 기반을 보유하고 있으며 Web3 생태계를 적극적으로 구축하고 있습니다. 현재 Web3 생태학적 발전은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으며, KAIA의 레이아웃은 참가자들에게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TON은 Telegram을 기반으로 하는 Web3 분야에서도 좋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둘 다 소셜 플랫폼에 의존하지만 비즈니스, 기술 및 시장 포지셔닝은 서로 다릅니다. 이 기사를 TON과 비교하면 투자자와 개발자가 KAIA의 장단점을 이해하여 블록체인 생태학적 결정을 내리고 시장 기회를 포착할 때 참고할 수 있습니다.2024-11-13암호화 하드웨어, Web3 스마트폰이 블록체인의 대량 채택을 촉진할 것인가?
Web3 스마트폰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Web3 지원, Web3 중심 및 기본 Web3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뉩니다. 사용자 액세스를 늘리고 모바일 시장 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지만 여전히 하드웨어 성능이 부족한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 에어드랍 및 운영 문제에 대한 과도한 의존.2024-10-25하바, 클레이튼과 전략적 파트너십
인터체인 플랫폼 하바(HVH)가 공식 채널을 통해 클레이튼(KLAY) 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하바는 IOK(Ignite On Klaytn) 프로그램 파트너로 합류해, 향후 클레이튼 및 통합 체인에서 NFT 공식 브릿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2024-04-042024 Crypto Outlook: Winner Winner, Chicken Dinner
“Winner Winner, Chicken Dinner.” 배틀그라운드(Battleground) 게임에서 우승한 플레이어에게 하사되는 축하 문구다. 고된 전투를 거쳐 끝까지 살아남은 이들에게 전하는 메시지이자, 긴 침체기를 거쳐 또 한번의 도약을 앞두고 있는 가상자산 시장 참여자들에게 쟁글 리서치팀이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이기도 하다.2023-12-15클레이튼, 온체인 거버넌스 플랫폼 웹사이트 점검 진행...버전 업데이트
레이어1 블록체인 클레이튼(KLAY)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클레이튼 스퀘어(Klaytn Square) 웹사이트 버전 업데이트를 위해 한국시간 기준 15시부터 16시까지 점검을 진행한다"고 공지했다. 클레이튼 스퀘어는 클레이튼의 공식 온체인 거버넌스 플랫폼으로2023-12-14클레이튼, 디앱 개발 원스톱 솔루션 출시
클레이튼(KLAY)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디앱 개발 지원 원스톱 솔루션 이그나이트 온 클레이튼 프로그램(Ignite On Klaytn Program·IOK)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개발 시간 단축,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고 클레이튼 측은2023-08-08커런시, 8/7 클레이튼서 출시
디파이 서비스 커런시(Kurrency)가 8월 7일 클레이튼에서 출시된다고 공식 미디움을 통해 밝혔다. 클레이튼에서 활용되는 커런시의 크립토달러는 KCD(Klaytn Crypto Dollar)로 불린다. 앞서 6월 커런시는 위믹스3.0 메인넷에 출시된 바 있다. 커런시2023-07-31벨리곰 & 푸빌라,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다
홈쇼핑의 모바일화와 MZ세대의 쇼핑 행태 변화 대응을 위해 다수의 기업이 MZ세대를 겨낭한 사업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대표 기업들은 Web3 기술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세대와 MZ세대를 대상으로 NFT를 사업 확장, 브랜드 이미지 제고,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활용하는 추세이다.2023-06-13클레이튼, 17일 트레저리 리밸런싱
클레이튼(KLAY)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17일 오전 12시(한국시간) 메인넷 사이프레스(Cypress) 네트워크는 트레저리 리밸런싱을 실행한다. 소각 예정인 KLAY 미유통물량 52억9000개가 클레이튼 커뮤니티 펀드, 클레이튼 재단펀드, KVC(Klaytn Val2023-04-14Web3 세상을 여행하는 코인러를 위한 안내서 1. 블록체인 게임
국내 가상자산거래소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2022년말 기준 국내 5대 거래소에만 약 400여개의 코인이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다. 대표적인 가상자산인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비롯해 다양한 이름을 가진 코인들이 하루에도 수천만원에서 수천억원의 규모로 투자자들의 손을 거쳐가고 있다. 하지만 그 코인이 어떤 목적으로 만들어진 코인인지, 어떤 유틸리티를 가지고 있는 지 알고 거래를 하는 투자자는 몇 명이나 될까? 심지어 제대로 관리되지도 사용되지도 않는 코인이 뜬 소문에 이끌려 가격이 롤러코스터를 타기도 한다.2023-03-02클레이튼 "19일 초기 투자자에 3166만 KLAY 배포"
클레이튼(KLAY)이 공식 미디엄을 통해 "클레이튼 메인넷 론칭과 운영을 위해 투자했던 초기 투자자들에 계약 조건에 따라 31,666,667 KLAY를 19일 배포할 예정"라고 밝혔다. 앞서 클레이튼은 "거시 시장 변동성에 대한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올 4분기 남은 기2022-12-19클레이튼 "1, 2분기 KGF/KIR 생태계 지원 집행 내역 공개 예정"
클레이튼(KLAY) 팀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투명성 강화를 위해 지난 3일 공개한 3분기 클레이튼 성장 펀드(KGF) 및 클레이튼 발전 준비금(KIR)의 생태계 지원 집행 내역 공개에 이어 이전 시점인 1, 2분기의 집행 내역도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2022-11-25클레이튼, KIR 통한 생태계 보조금 지원 일시 중단안 GC 투표 통과
클레이튼(KLAY) 커뮤니티에 따르면, 11월 초 상정된 'KIR(Klaytn Improvement Reserve)을 통한 생태계 보조금 KLAY 지급 일시 중단' 거버넌스 제안이 GC(거버넌스 카운슬) 투표에서 찬성 통과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멋쟁이사자처럼2022-11-21클레이튼 재단, 올 4분기 생태계 보조금 제공 및 투자 일시 중단
클레이튼(KLAY) 재단이 올 4분기 생태계 보조금 제공 및 투자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식 미디움을 통해 밝혔다. 클레이튼은 "거시 시장 변동성에 대한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올 4분기 남은 기간 동안 KGF(Klaytn Growth Fund), KIR(Klaytn Imp2022-11-02데이터 "클레이튼 재단 소유 추정 주소, 약 2시간 전 1,700만 KLAY 출금"
클레이튼(KLAY) 블록체인 익스플로러 클레이튼스코프(Klaytnscope)에 따르면, 클레이튼(KLAY) 재단의 리저브 주소로 라벨링 된 주소 '0x5678300abc1f599d865c3525df851b3902c88266'에서 한국 시간 기준 16시 10분 경 7002022-10-11업비트 8/2 KCT, LMT, CHZ 계열 디지털 자산 입출금 중단
업비트가 KCT, LMT, CHZ 계열 디지털 자산 입금 주소 변경에 따라 8월 2일 12시부터 입출금을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Klaytn 계열 (KCT) : BORA, OBSR, SSX, WEMIXLuniverse 계열 (LMT) : MOC, MLK, AHTCH2022-07-14KBW2022에서 ‘메타버스 거장들’ 강연 나선다
오는 8월 7~14일 진행되는 아시아 최대 블록체인 이벤트 코리아블록체인위크2022(Korea Blockchain Week 2022, 이하 KBW2022)에서 최근 블록체인 산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주제인 '메타버스(Metaverse)'를 놓고 클레이튼(Klaytn)과 에브리렐름(Everyrealm), 더샌드박스(The Sandbox) 등 발표2022-07-11[파노니 데일리] 솔라나, 웹3 기반 안드로이드 휴대폰 개발 중
1. 솔라나, 웹3 기반 안드로이드 휴대폰 개발 중 2. 바이낸스, 호날두와 NFT 파트너십 체결2022-06-24위메이드, 클레이튼 기반 스테이블 코인 프로젝트 '크롬'에 투자
아이뉴스24에 따르면 위메이드가 클레이튼(Klaytn) 기반 스테이블 코인 프로젝트인 '크롬(KROME)'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고 21일 발표했다. 구체적인 투자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위메이드는 클레이튼 생태계 내 다양한 디파이 프로젝트와의 적극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크롬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USDK의 활용처를 적극 늘려가겠다고 전했다.2022-03-21클레이튼독스, 오픈 소스로 변경
클레이튼(KLAY)이 21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클레이튼 독스(Klaytn Docs)를 오픈 소스로 변경했다고 발표했다. 클레이튼 독스는 클레이튼의 역사, 비전, 핵심 개념과 기술 지침, 튜토리얼 등이 담긴 웹 기반 서비스다. 클레이튼 독스 영어 버전에서 사용자는 깃허브 풀 리퀘스트(pull request)를 통해 의견 사항을 제안하면 된다.2022-03-21클레입스, 오늘 22시 디파이 게임 클럽하우스 파트1 론칭
클레이튼(Klaytn) 재단의 최초 공식 협력 NFT 프로젝트 클레입스(Klapes)가 디파이 게임 클럽하우스(Klubhouse) 파트1이 오는 18일 한국 시간 22시 공개된다고 밝혔다. 클레입스는 클레이튼 재단과 마시멜로 제트팩(Marshmallow Jetpack: MMJP)이 공식 협력을 통해 발행한 NFT 프로젝트다. 클럽하우스는 클레입스와 베이비 클레입스 보유자를 위한 디파이 게임으로, 섬 주변 클럽하우스에서 코코넛($KOCO)을 모아 희귀한 NFT를 획득하는 스테이킹 게임이다.2022-03-18휴먼스케이프, 로드맵 발간
쟁글 공시에 따르면 휴먼스케이프(HUM)가 2022년 1분기 ~ 2022년 4분기 로드맵을 발간했다. 1. 2022년 1Q~2Q : '레어노트' 병원 제휴2. 2022 ~ 2Q : HUM 토큰 이코노미 업데이트3. 2022년 ~3Q : 아시아 시장 진출4. 2022년 1Q~4Q : 추가 거래소 신규 상장 Klaytn 과의 협력 강화2022-01-20메티스에듀, MTS 토큰 클레이스왑 에어드랍 시작
블록체인 기반 에듀 테크 메티스에듀(MetisEdu)가 지난 20일 클레이스왑에 론칭한 KLAY/KMTS 풀에 토큰 보상 프로그램이 28일(화) 오후 2시를 기점으로 적용되었다고 전했다. 이용자가 KLAY/KMTS 풀에 유동성을 공급하게 되면 토큰 간 교환 시 발생하는 수수료 일부와 클레이튼 체인의 매 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KMTS 토큰을 실시간으로 보상 받게 된다. 28일 오후 2시 기준 APY는 1,300%를 기록하고 있다. KLAY/KMTS 풀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먼저 ERC-20 기반의 MTS 토큰을 브릿지를 통해 Klaytn 기반의 KMTS으로 체인 스왑을 해야 한다.2021-12-28국민銀, CBDC·NFT 보관하는 디지털지갑 개발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이 블록체인 기반의 '멀티에셋 디지털 지갑'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멀티에셋 디지털 지갑은 한국은행이 진행 중인 CBDC 모의실험에 사용된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래이튼(Klaytn)을 기반으로 개발됐으며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2021-12-21국민은행, 디지털 자산 담는 '멀티에셋 디지털 월렛' 시험 개발
KB국민은행이 블록체인 기반 '멀티에셋 디지털 월렛' 시험 개발했다고 2021년 12월 21일 밝혔다. '멀티에셋 디지털 월렛'은 디지털 자산의 충전·송금·결제 등의 기능을 구현한 전자지갑이다. 디지털 자산은 한국은행이 개발 중인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2021-12-21클레이튼 기반 디파이 플랫폼 ‘라운드로빈’ 27일 베타 오픈
AMM 기반의 보상형 디파이(DeFi) 플랫폼 '라운드로빈(ROUNDROBIN)'이 12월 27일 베타 오픈한다고 밝혔다. 공식 론칭은 내년 1월 17일이다. 유저들은 라운드로빈 내 KCT 페어로 구성된 다양한 유동성풀에 토큰을 예치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라운드로빈은 클레이스왑과 같은 방식의 클레이튼(Klaytn) 기반 디파이 서비스다. 라운드로빈 측은 "유저들은 페어에 토큰을 예치하는 것 이외에 수시로 개최되는 이벤트 '라운드' 참여와 추후 개발되는 NFT 보상, 메타버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익을 다각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2021-12-21메티스에듀, MTS 토큰 클레이스왑 신규 풀 20일 론칭
블록체인 기반 에듀 테크 메티스에듀(MetisEdu)의 메티스(MTS) 토큰이 탈중앙화 디파이 플랫폼 클레이스왑에 KLAY/KMTS 신규 풀을 20일(월) 생성했다고 전했다. KLAY/KMTS 풀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먼저 ERC-20 기반의 MTS 토큰을 브릿지를 통해 Klaytn 기반의 KMTS으로 체인 스왑을 해야 한다. 메티스에듀는 KLAY/KMTS 풀 생성 후 곧바로 유동성 공급자에게 크립토자산의 에어드랍을 통한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컨트랙트를 배포할 예정이며 자세한 안내를 추후 안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2021-12-20싸이월드, 메타버스 가상경제 오픈 임박..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박차
싸이월드 측이 생활밀착형 메타버스 가상경제로 거듭나기 위해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싸이월드 운영사 싸이월드제트는 올해 초 MCN 플랫폼 운영사 MCI 재단과 협약을 체결, MCI 코인을 싸이클럽 코인으로 리브랜딩했다. 싸이월드는 카카2021-12-15썸씽-세번째공간, NFT 개발 및 마켓플레이스 구축 위한 업무협약 체결
소셜 노래방 앱 썸씽이 음악콘텐츠의 NFT화 관련 개발 및 마켓플레이스 구축을 위해 디지털 아트 전문 갤러리 ‘세번째 공간(대표 김윤수)’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세번째 공간’은 2D, 3D 애니메이션, 모션픽처 등 움직이는 디지털 작품을 온라인 갤러리에 전시하고 클레이튼(Klaytn)’을 기반으로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한토큰)화 하여 큐레이션하고 있다. 김희배 썸씽 대표는 “현재까지 수집부문과 예술부문으로 양분되어 왔던 NFT 시장에서 콘텐츠 및 글로벌 K-POP 아티스트들의 IP를 활용한 NFT 비즈니스도 하나의 큰 축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전했다.2021-12-03